사전

비교우위(Comparative Advantage)

한 나라가 국제무역에서 모든 교역 대상 품목을 낮은 비용으로 생산한다 할지라도, 최소한 하나 이상의 특정 상품에서는 상대국이 더 낮은 비용으로 생산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즉 상대국이 특정 상품을 ‘더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것이다. 이를 상대국이 특정 상품의 생산에 ‘비교우위’가 있다고 말한다. 이 경우 양국이 상대국보다 ‘더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상품을 특화해 교역하면 모두 이득을 얻을 수 있다. 한국은 텔레비전 생산비가 대당 20달러이고 운동화는 켤레당 10달러이며 미국은 텔레비전이 30달러, 운동화가 20달러라고 가정하자. 한국은 텔레비전과 운동화를 미국보다 낮은 비용으로 생산하지만 상품 교환량으로 파악한 상대적인 비용의 관점에서 보면, 한국 내의 시장에서는 텔레비전 1대와 운동화 2켤레가 교환되지만 미국은 텔레비전 1대가 1.5켤레의 운동화와 교환되므로 미국은 텔레비전을 더 생산해서 한국에 수출하면 미국 내의 1.5켤레보다 더 많은 2켤레의 운동화를 얻을 수 있다. 즉 미국은 텔레비전에 비교우위가 있고 반대로 한국은 운동화에 비교우위가 있다. 상대적 관점에서 보면 미국은 텔레비전으로 운동화 1.5켤레밖에 교환되지 않지만 한국은 2켤레나 교환이 가능하므로 한국은 그만큼 텔레비전이 귀한 것이고 따라서 운동화가 더 낮은 비용으로 생산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비교우위에 따라 교역에 참여하면 어느 나라도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이론적 배경을 제공함으로써 국가 간 자유무역을 확대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등록일 2020-11-03.

신규 용어

새로 등록된 호가 단어를 아시나요?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