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소비자기대지수

현재와 비교하여 6개월 후의 경기ㆍ생활형편ㆍ소비지출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심리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주요 기대지수는 경기, 가계생활, 소비지출, 내구소비재, 외식ㆍ오락ㆍ문화 등이며, 이는 다시 소득계층 및 연령대별로 분석해 작성하고, 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한다. 조사대상은 도시지역 2000가구의 20세 이상 기혼자를 응답자로 선정하며 조사원 방문에 의한 면접조사를 실시한다.-응답등급을 매우 좋음, 조금 좋음, 비슷, 조금 나쁨, 매우 나쁨으로 구분하여 각 응답 등급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지수를 산정한다. 예를 들어 지수가 100일 경우, 6개월 후의 경기ㆍ생활형편 등에 대해 현재보다 긍정적으로 보는 가구와 부정적으로 보는 가구가 같음을 뜻한다. 따라서 답변자가 현재보다 소비를 늘리겠다는 응답이 많으면 100을 넘어서고, 소비를 줄이겠다는 응답이 많으면 100보다 낮아진다. 한편, 소비자평가지수는 6개월 전과 비교해 현재의 경기ㆍ생활형편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를 나타내는 지수로 경기평가지수와 생활형편 평가지수로 구성된다. 소비자평가지수 역시 지수의 기준을 100으로 하고 있다.

등록일 2020-11-03.

신규 용어

새로 등록된 호가 단어를 아시나요?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