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역진귀납법(Backward Induction)

게임이론에서 경기자들이 순서대로 행동하는 전개형 게임의 균형을 구하는 방식으로, 게임의 가장 마지막 단계에서 시작하여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며 각 경기자들이 취할 가장 합리적 행동이 무엇인지 추론하는 분석 방법이다. 동질적 재화를 생산하는 두 개의 기업 A와 B가 순차적으로 생산량을 결정하는 슈타켈버그 모형(Stackelberg Model)을 예로 살펴보자. 게임의 1단계에서는 선도자 기업 A가 수량을 결정하고, 2단계에서는 추종자 기업 B가 앞에서 이루어진 A의 행동을 관찰한 후 자신의 생산량을 결정한다. 이 모형의 균형을 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2단계부터 풀어나간다. B는 이미 주어진 A의 생산량을 상수(Constant)로 받아들이고 자신의 이윤 극대화 생산량을 결정한다. 다시 1단계로 올라오면, A는 자신이 정하는 재화 수량에 따라 다음 단계에서 있을 B의 행동이 바뀔 수 있다는 사실을 미리 예상하고, B에게 미칠 영향까지 감안하여 생산량을 정한다. 이러한 역진귀납법 과정을 통해 구해진 균형을 부분게임 완전균형(Subgame Perfect Nash Equilibrium, SPNE)이라고 한다.

등록일 2020-11-03.

신규 용어

새로 등록된 호가 단어를 아시나요?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