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전사적 자원관리

인사ㆍ재무ㆍ생산 등 기업의 전 부문에 걸쳐 독립적으로 운영되던 각종 관리시스템의 경영자원을 하나의 통합 시스템으로 재구축함으로써 생산성을 극대화하려는 경영혁신기법을 의미한다. 과거 경영지원을 위한 각 서브시스템은 해당 분야의 업무를 처리하고 정보를 가공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하였지만 별개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관계로 정보가 다른 부문과 동시에 연결되지 않아 불편과 낭비를 초래하였다. 전사적 자원관리(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어느 한 부문에서 데이터를 입력하면 회사의 전 부문에서 동시에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ERP는 완전히 새로운 것이 아니라 1980년대 초 등장한 종합생산관리시스템(MRP: Material Requirement Program)과 뒤이어 1980년대 후반에 개발된 MRPⅡ보다 개념과 기능이 크게 향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기업의 생산관리 부문에서 원활한 자재관리 및 구매활동을 위해 제안된 MRP에서 시작하여 MRPⅡ라는 과도기를 거쳐 기업의 모든 조직간 상호정보통합을 위한 전사적 개념으로 전개되고 있다. ERP를 실현하기 위해서 공급되는 소프트웨어를 ERP 패키지라고 하는데, 이 패키지는 데이터를 어느 한 시스템에서 입력하면 전체로 자동 연결되어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처리할 필요가 없이 통합운영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또한 ERP 패키지는 주기적으로 새 버전이 공급되어 신기술 도입이 쉬우며 선진업무프로세스의 도입에 따른 생산성 향상, 많은 기업에서의 적용으로 인한 신뢰성 및 안전성 확보, 전 모듈 적용시 데이터의 일관성 및 통합성으로 업무의 단순화와 표준화 실현, 실시간처리로 의사결정 정보의 신속한 제공 등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ERP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업무처리 능률을 극대화하기 위한 선진프로세스와 최첨단의 정보기술을 동시에 얻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는 급변하는 경영환경의 변화와 정보기술의 발전에 대응하려는 기업의 고민을 동시에 해결시켜 주는 솔루션이라 할 수 있다.

등록일 2020-11-03.

신규 용어

새로 등록된 호가 단어를 아시나요?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