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최소효율규모(Minimum Efficient Scale)

최소효율규모란 규모의 경제의 이득을 보는 기업의 장기평균비용이 최소가 되는 지점에서의 생산량을 말한다. 어떤 기업이 생산 활동을 하기 위해 공장과 같은 고정설비가 필요하다면, 생산량을 늘릴수록 재화당 평균 생산비는 장기적 관점에서 하락한다. 평균 생산비의 하락은 생산량이 고정설비가 감당할 수 있는 최대량이 되기까지 계속되며, 그 이후에는 다시 평균 생산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설비가 수용 가능한 최대 생산량에서 장기평균 생산비용이 최소가 되고, 이 지점을 가리켜 최소효율규모라고 한다. 최소효율규모는 고정설비와 같은 장기평균비용에 대한 개념이므로, 단기평균비용이 최소가 되는 생산량인 최적생산량과는 구분된다. 최소효율규모가 시장수요량보다 낮으면 경쟁시장, 시장수요량보다 높으면 독?과점시장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

등록일 2020-11-03.

신규 용어

새로 등록된 호가 단어를 아시나요?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