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제품이나 산업에 대한 수요가 발생할 경우 경제 전체적으로 늘어나는 취업자수. 취업유발계수는 특정 산업의 직접적인 노동 투입량 뿐만 아니라, 생산의 파급과정에서 간접적으로 유발되는 노동량까지 포함한다. 가령, 자동차를 생산한다고 하면 이에 직접적으로 투입되는 노동량 뿐만 아니라 타이어나 부품 등 자동차와 관련한 수많은 제품을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노동량까지도 포함해 측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