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경매(Auction)

경제학에서는 경매를 참여자가 제시하는 금액에 따라 자원배분 방법과 가격을 결정하는 규칙들을 명시해 놓은 시장으로 정의한다. 경매는 한 명의 판매자가 다수의 구매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경우, 한 명의 구매자가 다수의 판매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경우, 다수의 판매자와 구매자가 동시에 가격을 제시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경매는 경매의 형태와 경매 대상이 되는 재화의 성격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①경매의 형태: 공개적으로 경매가 진행되는 공개경매(Open Auction)와 다른 참가자들이 부르는 가격을 알 수 없는 밀봉입찰식경매(Sealed-Bid Auction)가 있다. 공개경매는 다시 입찰자들이 점진적으로 입찰가를 높여 부르는 영국식 경매(English Auction)와 높은 가격에서 시작하여 구매자가 나타날 때까지 가격을 낮추는 네덜란드식 경매(Dutch Auction)로 구분된다. 밀봉입찰식경매는 최고가를 써 낸 자가 낙찰되고 자신이 제시한 가격을 지불하는 최고가격입찰제(First-Price Auction)와 최고가를 써 낸 자가 낙찰되고 두 번째로 높은 입찰가를 지불하는 제2가격입찰제(Second-Price Auction)로 구분된다. ②경매 대상 재화의 성격: 경매 참여자마다 자신의 기호에 따라 재화의 가치를 다르게 평가하는 개인가치 경매(Private-Value Auction)와 재화의 객관적 가치가 존재하지만 참여자들이 이를 정확히 모르는 공통가치 경매(Common-Value Price)가 있다. 예컨대 미술품 경매는 개인별로 느끼는 가치가 상이한 개인가치 경매인데 반해, 동전이 가득한 항아리에 대한 경매는 객관적 가치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낙찰되기 전까지는 항아리 안의 동전 수를 정확히 알 수 없는 공통가치 경매에 해당한다. 공통가치 경매의 경우, 낙찰자가 재화의 객관적 가치를 지나치게 높게 예상하고 가격을 지불하여 경매에서 승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손해를 보는 승자의 저주(Winner’s Curse)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등록일 2020-11-03.

신규 용어

새로 등록된 호가 단어를 아시나요?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