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고정비용(Fixed Cost)

어떤 재화를 생산하기 위해 자본이나 노동 등의 생산요소를 투입하게 되는데, 이때 이 생산요소를 투입하는 결정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없는 경우 고정비용이 존재한다고 한다. 단기간에는 생산자가 여러 제약에 의해 생산요소의 투입량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없어 투입량이 고정된다. 이를 가리켜 고정비용이라고 한다. 경제학에서 생산자 이론을 다룰 때에는 장기와 단기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장기와 단기, 즉 기간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고정비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따져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기에는 부동산계약 등을 이유로 공장부지(자본)를 신속하게 처분할 수 없는데 이때 소요되는 비용이 고정비용이다. 반대로 장기에는 모든 생산요소의 투입량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고 보므로 고정비용이 존재하지 않는다.

등록일 2020-11-03.

신규 용어

새로 등록된 호가 단어를 아시나요?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