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 의존도는 국민소득에서 수출과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으로서 수출액과 수입액을 합한 것을 국민총소득(GNI)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해 계산한다. 우리나라의 공식적인 대외 의존도 지표는 GNI로 나눈 값을 사용하지만 목적에 따라 GDP로 나눈 값을 사용하기도 한다. 수출 의존도는 국민소득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으로서 수출액을 GNI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해 계산하고, 수입 의존도는 국민소득에서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으로서 수입액을 GNI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해 계산한다. 따라서 대외 의존도는 수출 의존도와 수입 의존도의 합으로도 계산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외 의존도가 높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해외 부문의 여건 변화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이 그만큼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