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나만의 즐겨찾기(최대 5개 지정)

  • 정보공개
  • 뉴스
  • 정책
  • 통계ㆍ법령
  • 국민참여
  • 기관소개

메뉴 5개를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밴드 카카오톡

2026년 예산안 - 수혜자별 주요 지원내용

2025.08.29.
조회 수 아이콘1,789 다운로드 수 아이콘22 첨부파일(1)첨부파일창 열기
2026년 예산안 - 수혜자별 주요 지원내용 ● AI 1. AX-Sprint 0.9조원(신규) - 제품별 보조·출연(개당 10~40억원) - 총 2,000억원 융자(총 300개사) 2. 바우처 약 900개사 - 중소기업에 데이터, CPU, 클라우드 등 맞품형 바우처 지급(0.1조원) 3. AI TIPs 400개사 - AI기업에 8~30억원 지원(0.1조원) ● 저소득층 1. 생계급여 월 200만원 돌파 - 기준중위솓극 역대 최대 인상(6.51%) - 4인 가구 월 195.1→207.8만원 2. 보험료 최대 월 3.8만원(신규) - 국민연금 보험료 73.6만명 대상 지원(824억원) 3. 바우처 +517억원 - 농식품바우처(8.7→16.1만가구) - 에너지바우처(131→143만가구) ● 수출·통상 1. 해외진출 13개 유통사(신규) - 유통기업+소비재 동반수출 촉진(500억원) 2. 수출바우처 약 7,000개사 - 긴급지원바우처(약 800개사, 1.5억원 한도) - 마케팅·물류지원 등(6,394개사) 3. 조선업 협력 708억원 - 한미 기술협력센터(66억원) - 함정MRO·클러스터(565억원) ● 장애인 1. 발달장애인 돌봄 약 +3,000명 - 주간활동 서비스 확대(1.2→1.5만명, 2,848억원) 2. 일자리 +2,300명 - 장애인 일자리(3.4→3.6만개) 3. 가족 휴식 프로그램 약 +4,000명 - 힐링캠프, 테마여행 등 지원 확대(1.5→1.9만명, 20→30만원) ● 사회적기업/마을기업 1. 인건비 321억원(신규) - 사회적기업의 취약계층 근로자에게 월 50~90만원 지원(5,000여명) 2. 창업 +300억원(신규) - 사회적기업 창업자금, 교육·멘토링 등 팀장 5천만원 내외 지원(500팀) 3. 성장자금 +35억원 - 마을기업 개소당 5천만원 지원(신규 130개사) ● 위기가구 등 1. 위기가구 +5만건 - 긴급복지(33.1→37.5만건) - 재난적 의료비 지원(4.7→5.1만건) 2. 한부모가족 양육비 중위소득 63→65% - 시설 입소자 생활보조금 인상(월5→10만원) ● 취약근로자 1. 체불임금 대지급 +0.2조원 - 도산 사업장 대지급 범위 확대(3→6개월) 2. 장애인 +41억원 - 장애인 구직촉진 수당 인상(월50→60만원) - 중증 장애인 훈련수당 인상(일1.8→3.5만원) 3. 산재 근로자 +19억원 - 국선 대리인 지원(+2,750건) ● 실업자 1. 구직급여 +06조원 - 지원 단가 인상(+2.9%) - 지원 인원 확대(161.1→163.5만명) 2. 국민취업지원제도 +0.2조원 - 구직촉진수당 인상(월50→60만원) - 지원 인원 확대(30.5→35.0만명)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 의견쓰기 : 60자 이내로 입력하세요. (0/60)

공공누리 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공공누리 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기획재정부 “2026년 예산안 - 수혜자별 주요 지원내용” 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관련 누리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