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예산안 - 수혜자별 주요 지원내용
2025.08.29.
조회 수 아이콘1,789
다운로드 수 아이콘22
첨부파일(1)첨부파일창 열기
2026년 예산안 - 수혜자별 주요 지원내용
● AI
1. AX-Sprint 0.9조원(신규)
- 제품별 보조·출연(개당 10~40억원)
- 총 2,000억원 융자(총 300개사)
2. 바우처 약 900개사
- 중소기업에 데이터, CPU, 클라우드 등 맞품형 바우처 지급(0.1조원)
3. AI TIPs 400개사
- AI기업에 8~30억원 지원(0.1조원)
● 저소득층
1. 생계급여 월 200만원 돌파
- 기준중위솓극 역대 최대 인상(6.51%)
- 4인 가구 월 195.1→207.8만원
2. 보험료 최대 월 3.8만원(신규)
- 국민연금 보험료 73.6만명 대상 지원(824억원)
3. 바우처 +517억원
- 농식품바우처(8.7→16.1만가구)
- 에너지바우처(131→143만가구)
● 수출·통상
1. 해외진출 13개 유통사(신규)
- 유통기업+소비재 동반수출 촉진(500억원)
2. 수출바우처 약 7,000개사
- 긴급지원바우처(약 800개사, 1.5억원 한도)
- 마케팅·물류지원 등(6,394개사)
3. 조선업 협력 708억원
- 한미 기술협력센터(66억원)
- 함정MRO·클러스터(565억원)
● 장애인
1. 발달장애인 돌봄 약 +3,000명
- 주간활동 서비스 확대(1.2→1.5만명, 2,848억원)
2. 일자리 +2,300명
- 장애인 일자리(3.4→3.6만개)
3. 가족 휴식 프로그램 약 +4,000명
- 힐링캠프, 테마여행 등 지원 확대(1.5→1.9만명, 20→30만원)
● 사회적기업/마을기업
1. 인건비 321억원(신규)
- 사회적기업의 취약계층 근로자에게 월 50~90만원 지원(5,000여명)
2. 창업 +300억원(신규)
- 사회적기업 창업자금, 교육·멘토링 등 팀장 5천만원 내외 지원(500팀)
3. 성장자금 +35억원
- 마을기업 개소당 5천만원 지원(신규 130개사)
● 위기가구 등
1. 위기가구 +5만건
- 긴급복지(33.1→37.5만건)
- 재난적 의료비 지원(4.7→5.1만건)
2. 한부모가족 양육비 중위소득 63→65%
- 시설 입소자 생활보조금 인상(월5→10만원)
● 취약근로자
1. 체불임금 대지급 +0.2조원
- 도산 사업장 대지급 범위 확대(3→6개월)
2. 장애인 +41억원
- 장애인 구직촉진 수당 인상(월50→60만원)
- 중증 장애인 훈련수당 인상(일1.8→3.5만원)
3. 산재 근로자 +19억원
- 국선 대리인 지원(+2,750건)
● 실업자
1. 구직급여 +06조원
- 지원 단가 인상(+2.9%)
- 지원 인원 확대(161.1→163.5만명)
2. 국민취업지원제도 +0.2조원
- 구직촉진수당 인상(월50→60만원)
- 지원 인원 확대(30.5→35.0만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