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혁신성장PART 2

한국경제 바로알기

02소재·부품·장비산업?
위기를 기회로, 경쟁력 강화 3종세트 마련

범정부 차원 T/F에서 신속하고 전방위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불화수소, 레지스트 등 핵심품목의 공급이 안정화되고 투자가 확대되는 등 의미있는 성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 3종세트 마련
    • 수요·공급기업간 협력모델 발굴·지원
    •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 특별회계」 신설
    •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 정비
  • 국내 소재·부품·장비산업 공급 안정화
    • 미국, 중국, 유럽 등 수입선 다변화
    • 공장 증·신축 등 국내 생산능력 확대
    • 핵심품목 생산에 대한 투자 적극 유치

이번이 소재·부품·장비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마지막 기회라는 인식 아래, 반드시 우리 경제 체질을 업그레이드 하겠습니다.

소재·부품·장비산업은 제조업의 허리이자, 경쟁력의 핵심요소소재·부품·장비산업의 경쟁력 강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소재·부품·장비산업은 반도체, 자동차 등 주력산업의 뿌리이자, 4차 산업혁명 기술 경쟁력의 핵심요소입니다.
그간 우리나라 소재·부품·장비산업은 외형적 성장은 이루었지만, 만성적 해외 의존구조라는 취약성도 가지고 있습니다.

국가별 수입 중 소재·부품·장비 수입 비중(%) : (일본) 69.0, (미국) 41.2, (EU) 46.5

우리 경제의 안정적 성장 뿐만 아니라 국가안보 차원에서, 이번 기회에는 반드시 소재·부품·장비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소재·부품·장비산업의 중요도

  • 소재·부품·장비 생산현황 - 제조업 전체 1,515조원 (100%) 중 소재부품장비 786조원 (52%)
  • 소재·부품·장비 교역 추이 - 2001년 수입:654억불 수출:646억불, 2010년 수입:1,716억불 수출:2,396억불, 2018년  수입:2,034억불 수출:3,409억불

소재·부품·장비산업 핵심전략품목에 대한 경쟁력 강화 목표

업계의견과 전문가 검토를 거쳐 우선적으로 공급 안정화를 달성해야 할 6대 분야(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전기전자, 기계금속, 기초화학), 100+a개의 핵심전략품목을 선정하였습니다. 이 중 20개의 핵심전략품목은 1년 이내에, 80개 핵심 전략품목은 5년 이내에 반드시 공급 안정화를 달성하겠습니다.

단기:안보상 수급위험이 큰 품목, 주력산업에 미치는 영향 등 전략적 중요성이 커기술 확보가 시급한 품목  → 1년 이내 공급안정화, 장기:업종별 밸류체인상 취약품목이면서 자립화에 시간이 다소 소요되는 품목,
핵심장비 등 전략적 기술개발이 필요한 품목  → 5년 이내 공급안정화

경쟁력 강화 3종 세트 마련소재·부품·장비산업의 경쟁력 강화 3종세트로 이번에는 확실히 성과를 내겠습니다.

첫째로, 수요-공급기업간 강력한 협력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하여 기업간 협력모델을 발굴하여 예산, 세제, 자금, 규제개선 등의 패키지 정책을 이행합니다.

주요 기업간 협력모델 유형

수직적 협력(수요-공급기업 간) 협동 연구개발형-기술로드맵 공유 R&D→기술활용 R&D,공급망 연계형-양산평가시험 개방 공동기반 구축
(공동 Fab 등), 수평적 협력(수요기업 간)공동 투자형:협력사 공동 개발 /시설투자, 공동 재고확보형:공동 구매, 보관→대·중소기업 간 분업적 상생협력일 경우 →대중소 상생모델

둘째로, 기술개발, 기반구축 등 관련 정부대책이 차질없이 진행되도록 예산 내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 특별회계」를 신설하는 한편, 신속한 대책 이행을 위하여 ’19년 추경으로 2,732억원을 긴급 편성하고, ’20년 정부안으로 2.1조원 규모를 편성하였습니다.

‘20년도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 사업 (안)

(억원)

좌·우 스크롤이 가능합니다.

구분 ʼ19년 ʼ19년 추경 ʼ20년 안 비고
8,327 2,732 21,242
기술개발 6,384 1,277 12,571

소재부품기술개발

2,360 650 6,027

핵심전략소재 자립화 기술개발(66개)

약 200개 과제 신규 추진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 217 764

340개 기술개발 과제

나노미래소재원천기술개발

- - 373

전략소재 중심 24개 원천 기술개발

기반구축 1,943 955 4,745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

641 400 1,834

AI 가상 시뮬레이션 SW 구축(200억원)

소재 테스트장비 구축(15개 센터, 790억원)

대기업 양산라인 평가(50건 이상, 400억원)

공공나노팹 장비 고도화

- - 723

나노종합기술원, 한국나노기술원 장비 확충

자금 지원 등 - 500 3,925

산업은행 출자(성장지원펀드)

- - 2,000

소재부품산업 특별지원 용도 펀드 조성

신용보증기금 출연

- - 600

중소기업 투자자금에 대한 신용보증 지원

‘19년 대비 ‘20년도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 예산(안) 증가추이(억원)

전체 예산(+155.10%) 19년 8,327 20년(안) 21,242, 기술개발(+96.91%) 19년 6,384 20년(안) 12,571, 기반구축(+144.21%) 19년 1,943 20년(안) 4,745, 자금지원 등(순증) 19년 0  20년(안) 3,925

셋째로, 협력모델, 특별회계 등의 대책들을 안정되게 추진하기 위하여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정비를 추진(9.30일 발의)하고,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위원회」를 출범(10.11일)하였습니다.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위원회 구성]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위원회(위원장 : 경제부총리 / 부위원장 : 산업부장관) 전문위원회 특별위원회 대중소 상생협의회 (중기부 지원) 실무 추진단 (산업부 내) 특별위원회 특정 현안 관련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한 경우 현안별 특별위원회 운영,
전문위원회 소재부품, 장비, 제도개선 3개 분야별로 전문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 대중소 상생협의회 대중소기업간 자율적 상생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민간 기업이 참여

핵심품목의 수입국 다변화특정국가에 대한 의존도를 탈피하고, 수입선을 다변화하고 있습니다.

3대 핵심품목(불화수소, 레지스트, 불화 폴리이미드 등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상 핵심 소재)에 대해 미국, 중국, 유럽산 등 제품을 공정 테스트 중이며, 불산액의 경우 테스트 완료 후 일부 생산공정에 일본산 이외 제품을 투입 중입니다.

3대 품목 이외의 핵심품목에 대해서도 코트라 해외 거점 무역관(38개소) 중심으로 수입국 다변화 가능 기업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예) 밸브 관련 가社에 6개국 32개처, 웨이퍼 관련 나社에 9개국 34개처 등 7개 기업에 수입국 다변화 가능기업 발굴·제공 (3개 기업 요청 관련 조사 중)

수입국 다변화 진행상황

좌·우 스크롤이 가능합니다.

수입국 다변화 진행상황 품목, 수요기업, 기업, 진행상황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품목 수요기업 기업 진행상황
불산액 A社, B社, C社 등 중국 국기 중국(D社, E社) 등 일부 생산공정 투입 중
불화수소가스 A社, B社 등 미국 국기 미국(F社) 등 제품 테스트 중
EUV 레지스트 A社 등 유럽 국기 유럽(G社) 등 제품 테스트 중
로봇제어부품 A社 등 유럽,중국,미국 국기 유럽, 중국, 미국 등 제품 테스트 중

핵심품목의 국내 생산능력 확대핵심품목의 국내 생산시설을 증축하거나 신축하고 있습니다.

국내 공급기업인 H社는 불산액 기존공장을 증설·가동 중이며, 완공된 신규공장이 정상 가동되면 생산능력이 2배 확대됩니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수요기업인 A社, C社는 H社 불산액 테스트를 완료하고 일부 공정에 투입 중입니다.

국내생산 확대 진행상황

좌·우 스크롤이 가능합니다.

국내생산 확대 진행상황의 품목, 수요기업, 기업, 진행상황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품목 수요기업 기업 진행상황
불산액 A社, B社, C社 등 H社 등 증설공장 가동 중, 신규공장 완공
불화수소가스 A社, B社 등 I社 등 신규공장 완공 예정
불화 P.I C社, D社 등 J社 등 신규공장 완공 예정
실리콘웨이퍼 A社, B社 등 K社 등 공장증설 완공 예정
블랭크마스크 A社, B社 등 L社 등 신규공장 완공 예정

핵심품목에 대한 민간투자 확대핵심 소재·부품에 대한 국내기업들의 대규모 투자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탄소섬유(효성, 8.20), 친환경차 부품(현대모비스, 8.28) 등 핵심 소재·부품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효성 이미지

    탄소섬유 : 효성

    ’20년부터 ’28년까지 전주공장 추가증설에 1조원 투자

  • 현대모비스 이미지

    친환경차 부품 : 현대모비스

    ’21년 양산목표로 울산공장 신설에 3천억원 투자

전기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 산업분야 핵심 소재·부품기술을 보유한 해외 주요기업의 인수, 합작법인 설립도 진행 중입니다.

  • SK siltron, DUPONT 이미지

    SK 실트론, 미국 듀폰 웨이퍼 사업부 인수 발표(9.10일)

  • HYUNDAI, APTIV 이미지

    현대차, 미국 앱티브 테크놀로지스와 Joint Venture 설립 발표(9.23일)

핵심품목에 대한 외국인투자 적극 유치유망한 해외기업의 국내 투자를 적극 유치 중입니다.

국내 투자의향이 있는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해외기업에 대해 국내 투자를 적극 유도하여 국내 투자가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 현미경 이미지

    미국 장비회사 다社,
    한국내 R&D센터 유치 결정(9월말)

  • 플라스크 이미지

    미국 화학소재분야 라社,
    반도체 소재개발 및 생산시설 투자 검토중

  • 컴퓨터 이미지

    독일 소재분야 마社,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생산시설 투자 검토중

건강한 산업 생태계 형성대기업과 중소기업 등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이 한층 강화되고 있습니다.

기획부터 기술개발, 실증, 신뢰성·양산평가를 거쳐 실제 생산에 이르기까지 전 단계에 걸친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반도체 부품회사↔반도체 장비회사↔반도체 제조회사] ※ 사례 국내 공급기업인 반도체 부품회사 A社와 반도체 장비회사 B社의 경우, 국내 수요기업인 반도체 제조회사들과 신규기술에 대한 공동연구개발 등을 협력하여 수행 중

정부는 올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협력 등 211개의 협력사례를 발굴하였으며, 앞으로도 협력확대를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3종세트를 차질 없이 추진하여, 이번 기회에는 반드시 핵심전략품목에 대한 국내 공급 안정화를 이루도록 하겠습니다.

본 누리집은 「한국경제 바로알기('19.12.13. 기준)」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최신의 내용은 기획재정부 누리집(보도자료 등)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