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명절 장바구니 물가 안정 1. 16대 설 성수품 역대 최대 26.5만톤 공급 (평시 대비 1.5배) 🍎 배추·무 1만톤(평시대비 1.8배), 사과·배 4만톤(5.6배) 🐖 소·돼지고기 11만톤(1.4배), 닭고기·계란 1.8만톤(1.4배) 🦑 명태·오징어 등 수산물 6종 9만톤(1.1배) 2025년 설 명절을 맞아 16대 성수품을 역대 최대 규모인 26.5만 톤 공급합니다. 배추·무는 평시 대비 1.8배 많은 1만 톤, 사과·배는 4만 톤(5.6배)을 공급하고 소·돼지고기는 11만 톤(1.4배), 닭고기·계란은 1.8만 톤(1.4배)으로 확대됩니다. 명태·오징어 등 수산물 6종은 9만 톤(1.1배)을 공급하며, 오렌지 등 수입과일 10종에 대해 30만 톤의 할당관세 물량도 신속 도입합니다. .......
안녕하세요. 기획재정부 17기 대학생 소셜미디어 기자단 김지우입니다. 어느덧 1년이라는 시간이 지나, 마지막 기사로서 2025년 정책에 대하여 설명하는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정부는 2025년부터 달라지는 제도와 법규사항 등을 알기 쉽게 정리한 「2025년부터 이렇게 달라집니다」를 발행하였는데요. 오늘은 해당 책자를 통해 2025년부터 달라지는 주요 정책들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금융/재정/세제 : 청년과 기업, 가정에게 더 큰 지원을! 새해부터는 중소기업, 청년 그리고 인구 감소 지역 주민들에게 보다 실질적인 혜택이 주어질 예정입니다. 중소기업의 성장 지원을 위해 R&D와 투자 세액공제에 점감구조가 도입되며 투자세액공제의.......
안녕하세요. 기획재정부 17개 대학생 소셜 미디어 기자단 남승우입니다. 지금까지 2025년 경제정책방향의 4대 정책 분야 중 민생경제 회복, 대외신인도 관리, 통상환경 불확실성 대응 총 3가지 분야를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그 마지막, ‘산업경쟁력 강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주력산업 혁신 첫 번째로 주력산업 혁신입니다. 정부는 글로벌 산업 경쟁 심화에 대응하여 주력 산업별 맞춤형 지원을 강화합니다. 반도체 산업 부문에서는 반도체특별법 제정을 지원하고 기반 시설과 연구개발 등에 대한 추가 재정 및 세제 지원 방안을 구체화합니다. 이차전지 산업은 IRA 혜택 축소 등 대외여건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 대미 통상.......
안녕하세요. 기획재정부 17기 대학생 소셜미디어 기자단 윤주선입니다. 2025년 경제정책방향의 세 번째 분야는 ‘통상환경 불확실성 대응’입니다. 해당 분야에는 통상환경 불확실성 대응을 위한 방안으로 ‘신(新) 대외경제전략 추진’, ‘전략적 수출 지원’, ‘공급망 안정’에 대한 내용이 담겼습니다. 신(新) 대외경제전략 추진 우선 정부는 대외환경 변화에 선제적·체계적으로 대응하여 국익을 제고하기 위해 신 대외경제전략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본 전략은 크게 미국 신(新)정부에 대한 대응과 신(新) 대외질서에 대한 대응으로 구성됐습니다. 먼저 미국 신(新)정부에 대응하기 위해 민관 역량을 모아 상호호혜적 협력관계를 구축할 예.......
체질개선은 사회보상체계 혁신을 통해 성장을 촉진하고 성장개선은 경제규모 확대를 통해 보다 나은 분배 보장
분배ㆍ성장이 선순환을 이루는 사람중심 지속성장 경제 구현
이행기반 : 리스크 관리 등 경제 안정 + 정책 인프라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