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기획재정부 제18기 대학생 소셜미디어 기자단 손수현입니다. 청년을 위한 정책을 청년의 시각으로 소개하는 1번째 소식입니다. 청년 고용 문제는 여전히 우리 사회의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정부는 청년의 원활한 취업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그중 하나가 바로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입니다. 해당 사업은 각 대학을 거점으로 청년 맞춤형 고용서비스를 통합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는 대학 내 진로지도 및 취업 지원 기능을 공간적으로 통합하고, 기능적으로 연계해 청년 친화적 고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021년부터 단계.......
1. 유류세 인하&유가연동보조금 지급 2개월 연장 국제유가 상승에 대응하여 유류세 인하&유가연동보조금 지급을 2개월 연장합니다. (25년 6월 → 8월) 1. 유류비 경감 ① 휘발유 △10%(△82원) ② 경유 △15%(△87원) ③ LPG △15% (△30원) 2. 유가연동보조금 ① 경유 : 1,700원/ℓ초과분의 50% ② 압축천연가스 : 1,330원/M3 초과분의 50% 2. 농축수산물 할인지원 460원 투입 여름철 장바구니 부담 완화를 위한 농축수산물 할인지원 금액 460억 원이 투입됩니다. (6~7월) 1. 돼지고기·과일·수산물 등 최대 40~50% 할인 지원 ① 7월 17일 ~8월 6일, 할인 한도 확대 (주 1만원 →주 2만원) ② 축산자조금 및 유통업체 협력을 통해 최대 5.......
안녕하세요, 기획재정부 제18기 대학생 소셜미디어 기자단 손수현입니다. 최근 소비자물가는 2% 내외의 흐름을 지속하고 있으나, 국제유가 변동성과 이상기후 등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상황입니다. 또한 누적된 인플레이션으로 물가 수준이 높고, 먹거리 등의 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높아 생계비 부담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에 지난 6월 16일,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제1차관은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하여 「최근 소비자물가 동향 및 대응방안」을 논의하였습니다. 오늘은 에너지 비용 부담 완화와 밥상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가 마련한 방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부 대응 방향 : 체감물가 안정 가. 에너지 가격 대응.......
안녕하세요. 기획재정부 제 18기 대학생 소셜미디어 기자단 김수정입니다. K- 드라마와 K-팝을 넘어 이제는 "K- Food"가 세계인의 일상 속으로 깊숙이 들어오고 있습니다. 여러 SNS채널 등을 통해 소개되며 단순히 "맛있는 음식"으로서의 기능을 넘어, 한국의 정서와 미학, 삶의 방식이 담긴 문화 콘텐츠로서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는 것입니다. 이렇듯 K- food는 어느새 새로운 수출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데요. 이를 가능하게 한 것은 기업의 끊임없는 도전과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K-Food의 수출 성장 현황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사례, 그리고 정부.......
체질개선은 사회보상체계 혁신을 통해 성장을 촉진하고 성장개선은 경제규모 확대를 통해 보다 나은 분배 보장
분배ㆍ성장이 선순환을 이루는 사람중심 지속성장 경제 구현
이행기반 : 리스크 관리 등 경제 안정 + 정책 인프라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