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안정에 유의하면서 실물경제 및 금융시장 상황 등 거시경제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책조합을 신축적으로 운영
수출·투자가 하반기 경기 모멘텀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총력 지원
① 지역 인프라 조기 확충, ② 기회발전특구 지원, ③ 산단 활성화 등 지역경제 활성화 3종 세트 추진
상반기 내수회복세가 하반기에도 이어질 수 있도록 릴레이 소비활성화 이벤트 개최, 외국인 방한관광 활성화 등 추진
하반기 물가 상승요인 억제 및 공급측 불안요인 관리를 지속하고, 핵심생계비 부담 경감을 통해 서민·취약계층 등 생활안정 지원
역전세·전세사기 등 서민 주거안정 저해 요인 방지에 주력하고 주거비 부담 완화 노력 지속
현장 및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일자리 지원 강화로 고용안정 도모
건전재정 기조 下 내년에도 취약계층에 대한 재정지원을 강화하고, 복지시스템 선진화 노력 지속
자율과 창의 기반의 과학기술 및 첨단산업 육성으로 미래 성장동력 발굴 지원 강화
우리경제의 근본적 체질개선과 미래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노동·교육·연금 3대 구조개혁 본격 추진
금융·서비스산업·공공 3대 분야 혁신 및 기업활동을 가로막는 규제 발굴·개선으로 우리경제 생산성 제고
경쟁 활성화, 불법‧부당행위 근절 등으로 공정 시장경제 질서를 확립하고, 상생·경제교육 강화로 자유시장경제 기반 강화
저출산 등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대응 여력 확충
경제 중심 실리외교와 국제연대 강화로 수출·투자 등 실익확보를 도모하고, 공급망 등 경제안보 이슈에 대한 대응체계 강화
에너지 사용 효율화, 원전생태계 복원, 과학과 합리 기반의 탄소중립 이행 등을 통해 기후·에너지 위기대응 역량을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