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경제정책방향
2025.01.03.
조회 수 아이콘3,890
다운로드 수 아이콘684
첨부파일(1)첨부파일창 열기
2025년 경제정책방향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대응해 경제를 최대한 안정적으로 관리
◎ 민생경제회복
● 내수 등 경기회복 가속화
○ 획기적 경기보강
- 총 18조원 규모 공공부문 가용재원을 총동원해 경기 뒷받침
- 민생 신속지원 85조원 수준 민생·경기 사업은 상반기 70% 집중
○ 소비 활력 제고
- 상반기 추가소비분에 대한 20% 추가 소득공제 추진(별도한도 100만원)
- 상반기 한시로 개소세 30% 인하
- ’25년도 전기차 보조금 지급기준 연초 즉시 시행
- 취약계층 고효율 가전 구매시 환급지원율 확대
○ 건설·지역경기 회복 조기화
- ’25년 중 뉴:홈 10만호를 공급, 공공주택 및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13.8만호 착공
- 건설비 현실화 3종 패키지를 통해 1순위 건설애로 해소
- 규제·부담금·세제 등 각종 민간의 건설·거래 저해요인 해소
’24~’25년 신규개발사업 개발부담금을 감면(수도권 50%·非수도권 100%)
● 서민 생계비 부담 경감
○ 확고한 생활물가 안정 위해 11.6조 재정지원 등 정책노력 강화
○ 과일류 10종에 대한 추가 할당관세 적용을 통해 수급안정 지원
○ 醫·食·住 등 주요 분야 서민 생계비 경감 노력 강화
- (의료) 간병비용 완화, 취약시간대 의료접근성 등 제고 : 건강보험료율, 장기요양보험료율 각각 동결
- (먹거리) 구조적 먹거리 부담완화 4종 패키지 추진
- (주거) 주말부부, 中企 근로자 등 유형별 맞춤형 주거부담 완화 : 부부 각각 월세 세액공제 허용(가구당 한도 1,000만원)
- (통신) 단통법 폐지 후속조치, 알뜰폰 활성화 지속 추진
● 취약부문 맞춤형 지원
○ 청년
- 일자리-교육-자산-주거 희망사다리 구축 지원 : 청년고용올케어플랫폼 본격 가동, 직업계고 취업역량 강화, 청년 자산형성 촉진 패키지 지원
○ 중고령층
- 다층적 노후소득 보장체계 강화 : 국민·퇴직연금 등 연금의 노후소득보장 강화, 45+ 생애전환 경력설계 프로젝트 추진, 계속고용 로드맵 마련 및 중장년 채용 인센티브 확충
○ 소상공인
- 맞춤형 지원 지속 보강 : 새출발기금 대상 추가 확대, 노란우산공제 납입부금에 대한 소득공제 한도 확대, 영세소상공인 ‘25년 신용카드 금액 소득공제율 2배 인상
◎ 대외신인도 관리
● 금융·외환시장 안정적 관리와 국제사회 소통
- 외환건전성 관리제도 완화
- 달러 수요 안정화 체계 구축
- 금융시장 안정
- 국제사회 소통 강화
● 자본시장 선진화
- 밸류업 촉진 세제지원 패키지 추진
- 국채투자 인프라 전면 개편해 차질없이 WGBI 편입 추진
- 야간 시간대 거래 촉진
- 가상자산·핀테크 확대
● 외국인 투자(FDI) 촉진
- 외국인 투자유치 패키지 지원
- 외국인 투자환경 개선 추진
◎ 통상환경 불확실성 대응
● 新대외경제전략 추진
- 미국 新정부 대응
- 미·중 경쟁, 보호무역주의 심화에 선제 대비
● 전략적 수출 지원
- 수출 포트폴리오 다변화 : 무역금융 역대 최대 360조원 공급
- 교역환경 변화에 따른 우리기업 피해 최소화
● 공급망 안정
- 국내 생산지원 확대 : 외국인투자·지방투자 보조금 지원
- 핵심광물 투자 : 필요자금 패키지 지원
- 다각적 재원 활용 : ‘공급망 우대 보증 프로그램’ 신설
◎ 산업경쟁력 강화
● 주력산업 혁신
- (반도체) 반도체 생태계 지원 가속화
- (이차전지) IRA 불확실성 대응과 소재·광물의 내재화·다변화 추진
- (조선) MRO 등 신수요에 적극 대응, R&D·인력·소부장 지원
● 유망 신산업·서비스업 경쟁력 제고
- (신산업) 3대 게임체인저 육성 위한 혁신전략 수립·착수
(AI) G3 도약 위한 인프라 확충
(바이오) 기술·제조 혁신과 클러스터 운영
(양자) 핵심기술 선점
- (서비스) 新서비스업·서비스수출 육성
● 핵심인프라 확충
- 국가기간 전력망 신속 구축
- 재생에너지·수소 등 전력원을 균형 있게 확충
- 탈탄소 대응 강화
- 글로벌 우수인재 유치
● 기업 투자환경 개선 및 중소·벤처 활성화
- 역대 최대 시설자금 공급 및 인센티브 보강
- 현장 규제혁신 프로세스 강화
- 중소기업 성장사다리 구축
- 중소기업 글로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