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나만의 즐겨찾기(최대 5개 지정)

  • 정보공개
  • 뉴스
  • 정책
  • 통계ㆍ법령
  • 국민참여
  • 기관소개

메뉴 5개를 선택 후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밴드 카카오톡

2019년 3분기 소득부문 가계동향

2019.11.27.
조회 수 아이콘1,852 다운로드 수 아이콘11 첨부파일(1)첨부파일창 열기
2019. 3분기 소득부문 가계동향 한국경제 바로알기 기획재정부 ’19.3분기 가계동향 한국경제 바로알기 1분위 가구 소득은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4.3% 증가하며 증가폭이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1분위 소득증감률(전년비, %): (’18.3/4)-7.0 (4/4)-17.7 (‘19.1/4)-2.5 (2/4)0.04 (3/4)4.3 소득격차를 보여주는 5분위 배율이 감소하며 4년 만에 분배가 개선되었습니다 * 5분위배율(3/4분기): (‘15)4.46 (’16)4.81 (‘17)5.18 (’18)5.52 (‘19)5.37 ** 5분위배율이란 : 상위20 소득 ÷ 하위 20% 소득을 의미, 값이 작을수록 분배가 개선됨을 나타냅니다. 중간계층인 2·3·4분위 소득 모두 전체소득 증가율을 상회하며 견조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분위별 소득증감률(전년비, %): (전체)2.7 (1분위)4.3 (2분위)4.9 (3분위)4.1 (4분위)3.7 (5분위)0.7 기초연금 인상, 근로·자녀장려금 제도개편 등 정책효과가 소득·분배여건 개선에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정부 정책으로 인한 분배 개선효과는 1·2분기에 이어 3분기도 각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였습니다 * 분배개선효과 : (2017. 3/4)2.14 (2018. 3/4)3.28 (2019. 3/4)3.76 정부 분배 정책이후 실재 가계의 소득 “시장소득기준 5분위 배율 - 가처분소득 기준 5분위 배율”을 의미 값이 클수록 분배개선 정도가 큼을 나타냅니다 고령화 등 구조변화 영향 등으로 분배여건은 여전히 엄중한 상황입니다 *1분위 65세이상 가구 비중(3/4분기, %): (‘15)46.1, (’16)49.6, (‘17)51.1, (’18)52.8, (‘19)55.3 정부는 저소득층 소득 증가와 분배개선이 지속될 수 있도록 정책노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습니다 기획재정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 의견쓰기 : 60자 이내로 입력하세요. (0/60)

공공누리 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공공누리 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기획재정부 “2019년 3분기 소득부문 가계동향” 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관련 누리집